알고리즘/백준알고리즘

[백준알고리즘] #8710. Koszykarz (by JAVA and node.js)

Jimnya 2022. 4. 25. 13:07
728x90
반응형

백준알고리즘

- Bronze 4 -

 #8710. Koszykarz by JAVA and node.js 

 


 

문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8710 

번역: https://www.acmicpc.net/board/view/85981

 

글 읽기 - (번역) 8710 - 농구 선수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

www.acmicpc.net


 

접근 방법

삼항연산자로 간단히 출력할 수 있는 문제이다.

현재 키 K, 목표 키 W, 한 번당 자라는 혹의 길이 M이 주어진다.

W-K가 커야하는 키이고, (W-K)를 M으로 나눈 값이 때려야 하는 횟수가 된다.

물론, W-K를 M으로 나눈 값이 나눠 떨어지지 않을 경우 +1을 해줘야 한다.

 


 

풀이

▶ JAVA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nt k = scan.nextInt();
        int w = scan.nextInt();
        int m = scan.nextInt();
        scan.close();

        System.out.println((w-k) % m == 0 ? (w-k)/m : ((w-k)/m) + 1);
    }
}

 

▶ node.js

var fs = require('fs');
var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 ').map(v => +v);
var k = input[0];
var w = input[1];
var m = input[2];

var remaind = (w-k) % m;
var sub = parseInt((w-k)/m);
console.log(remaind == 0? sub : sub + 1);

node.js의 경우 나눈 값을 parseInt() 해주는 것을 잊지 말자


 

결과

 


 

 

 

 

 

End.

heisely's 괴발개발 개발일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