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VN

- 포트포워딩을 이용한 DB연결 -

 


 

SVN 파일서버와 소스서버를 연동했으니 외부포트로 DB를 연동할 차례..

회사에서는 postgresql를 쓰다가 오랜만에 oracle 쓰려니 잠시 헷갈렸다..

 


1. 포트열기

보통 Oracle DB의 포트는 1521이다. 그래서 1521포트를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줬다.

svn과 동일하게 진행.. (내부ip=IPv4, 내부포트=1521, 외부포트:xxxx)

- 참고: 포트포워딩방법: https://heisely93.tistory.com/8 

 

[ETC] SVN 포트포워딩(NEXT NETWORK 포트포워딩)

iptime의 포트포워딩 방법은 검색해보니 많은데 내 방의 공유기는 NEXT 여서 설정방법을 찾기가 어려웠다. iptime과 비슷하게 했더니 돼서 관련 정보를 공유하려고 한다. 1. 네트워크 관리자 확인하

heisely93.tistory.com

 

 

2. sqlplus로 계정 생성하기

프로젝트 전용 계정을 생성해서 공유했다.

scott.sql을 참고하여 진행..

- cmd > sqlplus 입력

- GRANT CONNECT,RESOURCE,UNLIMITED TABLESPACE TO (새계정ID) IDENTIFIED BY (새계정PW);
- ALTER USER (새계정ID) DEFAULT TABLESPACE USERS;
- ALTER USER (새계정ID) TEMPORARY TABLESPACE TEMP;

- CONNECT (새계정ID)/(새계정PW); -- 연결확인

 

 

3. 리스너 수정

- 잘못된 수정법

구글링 하면서 본건 listener.ora 와 tnsnames.ora를 수정하고 서비스에 들어가서 재시작 하는 방법이었다.

따라서 해보았으나 자꾸만 에러가 발생했다.

listener.ora
tnsnames.ora

체크된 부분을 내부아이피로 먼저 바꿔서 테스트해보려고 했는데.. 뭐가 문젠지 자꾸만 에러가 발생..

(체크를 못 했는데 PORT 부분도 바꿔가면서 테스트를 했다.)

그러다가 단비처럼 만난 게시물....(https://luckeex.tistory.com/356)

 

- 올바른 수정법

애초에 tnsnames.ora는 건들 필요조차 없었다.

1) cmd(관리자모드 실행 권장)에서 listener 멈추기: lsnrctl stop

2) listener.ora 수정

3) cmd로 listener 시작: lsnrctl start

 

 

4. DB 연결

이제 준비가 끝났으니 DB를 연결해보자.

(나는 DBeaver에서 설정했으나, Oracle 내에서 설정하는 것도 동일하다.)

- 데이터베이스 > 새 데이터베이스 연결 > oracle

- Host: (외부IP)
- Port: (외부PORT)
- Database: XE
- UserName: (새계정ID)
- Password: (새계정PW)

- Test Connection > 성공 시 '완료(F)' 누르고 연결확인

 

 

팀원들 모두 제대로 연결한 것을 확인하고 끝.

 

 


 

 

End.

heisely's 괴발개발 개발일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SVN

- SVN 체크아웃(2): Source -

 

 


 

파일서버 체크아웃은 끝났으니.. 이제 구현할 때 생성하는 소스를 공유하기 위해 이클립스 내에서 svn 연동을 했다.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 파일서버가 아닌 Source용 저장소를 새로 생성했다.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heisely93.tistory.com/10

 

[ETC] VisualSVN Server Manager 관련

Tortorise SVN을 설치했으나, 계정을 설정해서 허가된 계정만 접근할 수 있게 해야해서 VisualSVN Server Manager를 설치했다. 1. 설치 https://www.visualsvn.com/server/download/ VisualSVN Server | Download..

heisely93.tistory.com

 


<공통>

1. 이클립스 내 SVN 연동플러그인 설치

이클립스 구동 후 "Help > Eclipse Marketplace..." 클릭

 

svn 검색 후 아래로 내려서 "Subversive-SVN Team Provider 4.x.x(2022.03.02. 기준 4.0.5)" 설치

(이미 설치한 이후라 change로 뜨지만, Install로 떠야 정상이다)

(기타 설정은 건드리지 않고 confirm > '...accept...' > finish 순으로 진행)

 

설치되는 도중에 알림 창이 뜨면 Install anyway 클릭해서 진행

 

재시작 알림 창이 뜨면 Restart Now 클릭해서 이클립스 재기동

 

재기동이 완료되면 "Window > Show View > Other..." 에 들어가서

 

SVN을 검색하고 SVN Repositories > Open 클릭

 

그러면 하단(콘솔있는 바)에 SVN Repositories와 아이콘 하나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체크아웃

위에서 생성된 아이콘을 클릭하면 Repository를 추가할 수 있다.

"외부아이피:외부포트/svn/source저장소명" 입력

(캡처에서는 가독성을 위해 외부아이피와 외부포트 사이에 띄어쓰기를 했지만, 실제로는 붙여쓴다.)

 

SVN Repositories에 정상적으로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0x00400006: validate repository location Error

만약, '0x00400006: validate repository location'와 같은 메시지와 함께 제대로 추가되지 않는다면,

Subversive 설치 후에 재시작하고서 다른 프로그램이 깔리지 않은 것.

 

Window > Preferences > Version Control(Team) 또는 그냥 Team > SVN을 클릭 > SVN Connector에 진입하면

SVN Connector에 빈칸으로 되어 있고, 밑에 Get Connectors...를 클릭하면 설치가 된다.

 

설치 및 재시작 이후 다시 연동하면 정상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소 컴퓨터 설정>

프로젝트 생성 후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Share Project..." 클릭

SVN > Next

URL 및 계정정보 입력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고 Next만 하다가 Finish까지 하고 나면, SVN Repositories에 정상적으로 프로젝트가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

처음엔 폴더가 빈 폴더로 되어 있다.

Project Explorer에서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Commit"을 해주고 

SVN Repositories에서 "프로젝트 우클릭 > Refresh"를 해주면 해결된다.

 

 

 


<공유컴퓨터 설정>

저장소 컴퓨터에서 프로젝트를 커밋한 이후에 저장소 추가를 했다면 자동으로 프로젝트가 SVN Repositories 목록에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제 이 프로젝트를 본인의 이클립스 내로 넣어야하니까.."프로젝트명 우클릭 > Checkout..." 을 눌러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내용 확인 후 next

workspace 위치를 정하는건데 편의상 현재 켜져있는 위치로 정했다.

Finish를 하고 나면 Project Explorer에 정상적으로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커밋 및 업데이트 방법은 파일서버와 유사하다.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Commit / Update to Version"

주의: 본인의 .class 파일 등을 커밋하지 않도록 한다.

 

 

 

 


 

참고:

> SVN 체크아웃(1)-파일서버: https://heisely93.tistory.com/11

 

[PMS] SVN 체크아웃(1)-파일서버

SVN 설치하고, 저장소 생성하고, 포트포워딩까지 끝냈으니 이제 팀원들과 공유를 해야했다. SVN 포트포워딩 설정하는 게시물에 적었듯이 나는 공유기를 NEXT Network를 사용해서 며칠 애 먹다가 오늘

heisely93.tistory.com

 

 

 

 


 

 

End.

heisely's 괴발개발 개발일지

728x90
반응형

'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DB 연결하기  (0) 2022.02.25
[SVN] SVN 체크아웃(1)-파일서버  (0) 2022.02.23
[SVN] VisualSVN Server Manager 관련  (0) 2022.02.23
[SVN] SVN 포트포워딩(NEXT NETWORK 포트포워딩)  (0) 2022.02.13
[SVN] SVN 저장소 설정  (0) 2022.02.13
728x90
반응형

SVN

- SVN 체크아웃(1): File Server -

 


 

SVN 설치하고, 저장소 생성하고, 포트포워딩까지 끝냈으니 이제 팀원들과 공유를 해야했다.

SVN 포트포워딩 설정하는 게시물에 적었듯이 나는 공유기를 NEXT Network를 사용해서 며칠 애 먹다가 오늘 돼서 유레카를 외쳤다.

포트포워딩이 준비되었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팀원들과 파일 및 소스를 공유할 수 있게 체크아웃을 진행했다.

 

.

.

.

원하는 곳(디스크, 폴더 등 선택)에 마우스 우클릭 > SVN CheckOut...을 클릭

외부ip:포트번호/svn/저장소이름을 입력하고(VisualSVN Server Manager에서 Copy 후 ip와 포트만 수정) ok

Accept the certificate permanently 클릭 후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서 Completed와 폴더가 생성되면 끝!

커밋과 업데이트는 SVN 폴더에서 우클릭하여 쉽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참고:

> SVN 설치하기: https://heisely93.tistory.com/6

(위 게시물에 SVN 설치, 포트포워딩, 저장소설정, VisualSVN에 관한 게시물 링크도 포함되어 있다.)

 

[ETC] SVN 설치

형상관리를 위해 SVN을 사용하기로 했다. * 버전 관리 및 여러 사람이 자료공유를 하기에 용이함 1. https://tortoisesvn.net/downloads.html 접속 Downloads · TortoiseSVN download TortoiseSVN tortoisesvn.ne..

heisely93.tistory.com

 

> SVN 체크아웃(2)-Source: https://heisely93.tistory.com/12

 

[PMS] SVN 체크아웃(2) - Source

파일서버 체크아웃은 끝났으니.. 이제 구현할 때 생성하는 소스를 공유하기 위해 이클립스 내에서 svn 연동을 했다.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 파일서버가 아닌 Source용 저장소를 새로 생성했다.

heisely93.tistory.com

 

 

 


 

 

End.

heisely's 괴발개발 개발일지

728x90
반응형

'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DB 연결하기  (0) 2022.02.25
[SVN] SVN 체크아웃(2) - Source  (0) 2022.02.23
[SVN] VisualSVN Server Manager 관련  (0) 2022.02.23
[SVN] SVN 포트포워딩(NEXT NETWORK 포트포워딩)  (0) 2022.02.13
[SVN] SVN 저장소 설정  (0) 2022.02.13
728x90
반응형

SVN

- VisualSVN Server Manager -

 


 

Tortorise SVN을 설치했으나, 계정을 설정해서 허가된 계정만 접근할 수 있게 해야해서 VisualSVN Server Manager를 설치했다.

 

1. 설치

https://www.visualsvn.com/server/download/

 

VisualSVN Server | Download

System Requirements Operating Systems Windows Server 2008 R2 – 2022 Windows 7 or later Minimum hardware 1.4 GHz CPU, 512 MB RAM 50 MB hard drive space Compatibility Built against the latest Subversion 1.14 LTS release. Compatible with all Apache Subversi

www.visualsvn.com

위 사이트에 들어가서 사양에 맞는 버전으로 다운로드한다.

다운 받은 VisualSVN-Server-4.3.6-x64.msi를 실행해서 next를 눌러 설치완료

 

2. 계정 설정

설치된 VisualSVN Server Manager를 실행하면 좌측에 'User'가 있는데, 우클릭하여 'Create User...'를 선택한다.

Name과 PW(두 번)를 입력하고 OK 클릭.

그러면 아래와 같이 User가 생성된다. 추후 SVN Repository에 연결 시 설정한 Name과 PW로 연결한다. 

 

3. Repository 생성

https://heisely93.tistory.com/7 과 같이 저장소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이곳에서도 생성할 수 있다.

 

[ETC] SVN 저장소 설정

1. 저장소(repository)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한 뒤 우클릭하여 "TortoiseSVN > Create repository here"를 클릭 2. 생성이 되면 Create folder structure를 눌러주고 Start Repobrowser를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heisely93.tistory.com

Repositories 우클릭 > Create New Repository... 클릭

Regular FSFS Repository > 다음

Repository Name 설정 > 다음

원하는 걸로 선택 후 다음, Create 하고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끝

그러면 왼쪽 Repositories에 생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해당 레파지토리를 외부에 있는 팀원들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 게시물 확인

> SVN 설치: https://heisely93.tistory.com/6 

 

[ETC] SVN 설치

형상관리를 위해 SVN을 사용하기로 했다. * 버전 관리 및 여러 사람이 자료공유를 하기에 용이함 1. https://tortoisesvn.net/downloads.html 접속 Downloads · TortoiseSVN download TortoiseSVN tortoisesvn.ne..

heisely93.tistory.com

- SVN 저장소 설정: https://heisely93.tistory.com/7

 

[ETC] SVN 저장소 설정

1. 저장소(repository)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한 뒤 우클릭하여 "TortoiseSVN > Create repository here"를 클릭 2. 생성이 되면 Create folder structure를 눌러주고 Start Repobrowser를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heisely93.tistory.com

- SVN 포트포워딩: https://heisely93.tistory.com/8

 

[ETC] SVN 포트포워딩(NEXT NETWORK 포트포워딩)

iptime의 포트포워딩 방법은 검색해보니 많은데 내 방의 공유기는 NEXT 여서 설정방법을 찾기가 어려웠다. iptime과 비슷하게 했더니 돼서 관련 정보를 공유하려고 한다. 1. 네트워크 관리자 확인하

heisely93.tistory.com

- SVN 체크아웃(1) - 파일서버: https://heisely93.tistory.com/11

 

[PMS] SVN 체크아웃(1)-파일서버

SVN 설치하고, 저장소 생성하고, 포트포워딩까지 끝냈으니 이제 팀원들과 공유를 해야했다. SVN 포트포워딩 설정하는 게시물에 적었듯이 나는 공유기를 NEXT Network를 사용해서 며칠 애 먹다가 오늘

heisely93.tistory.com

 

- SVN 체크아웃(2) - source: https://heisely93.tistory.com/12

 

[PMS] SVN 체크아웃(2) - Source

SVN 체크아웃(2) - Source Server 체크아웃- 파일서버 체크아웃은 끝났으니.. 이제 구현할 때 생성하는 소스를 공유하기 위해 이클립스 내에서 svn 연동을 했다.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 파일서버가 아

heisely93.tistory.com


 

End.

heisely's 괴발개발 개발일지

728x90
반응형

'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SVN 체크아웃(2) - Source  (0) 2022.02.23
[SVN] SVN 체크아웃(1)-파일서버  (0) 2022.02.23
[SVN] SVN 포트포워딩(NEXT NETWORK 포트포워딩)  (0) 2022.02.13
[SVN] SVN 저장소 설정  (0) 2022.02.13
[SVN] SVN 설치  (0) 2022.02.13
728x90
반응형

SVN

- NEXT NETWORK 포트포워딩 -

 

포트포워딩(Port fowarding)
 - 외부에서 접속을 하려고 할 때 접근 가능한 포트를 지정해주는 작업
 - "외부IP:포트번호"로 접근할 수 있게 함

 

iptime의 포트포워딩 방법은 검색해보니 많은데 내 방의 공유기는 NEXT 여서 설정방법을 찾기가 어려웠다.

iptime과 비슷하게 했더니 돼서 관련 정보를 공유하려고 한다.

 

 

1. 네트워크 관리자 확인하기

윈도우 + R 을 눌러 "cmd" 검색

ipconfig를 입력하여 기본 게이트웨이 확인

기본 게이트웨이 접속 (나는 next network라서 192.168.1.254 / iptime은 보통 192.168.0.1)하여 고급탭 클릭

  > 만약 로그인이 안 되어 있다면 초기 비밀번호는 admin일것으로 추정.. 나 같은 경우엔 로그인 되어있었음

 

고급 > 포트포워딩에서 내부IP에는 cmd에서 찾은 IPv4 주소를, 내부포트와 외부포트 설정, 프로토콜은 TCP로 설정 후 +를 누르면 아래 목록에 뜸. 하단 좋아요를 눌러서 저장

 

2. 방화벽 설정

- 제어판 > 방화벽 (Windows Defender 방화벽) > 고급설정

- 인바운드 규칙 > 새규칙 클릭

- 포트 클릭 > 다음

 - TCP > 위에서 설정한 내부 포트 입력(예시: 9000) > 다음

 - 연결허용 > 다음 > 다음

 - 이름과 설명을 적고 마침

 - 아웃바운드 규칙도 동일하게 진행

 

3. 개방되었는지 확인

https://www.yougetsignal.com/tools/open-ports/에 접속하여 설정한 외부포트를 입력해 Check 클릭

 

Open Port Check Tool - Test Port Forwarding on Your Router

 

www.yougetsignal.com

Open으로 되어있다면 성공

 

 

 

 


참고:

> iptime 포트포워딩 방법: https://bongra.tistory.com/68

 

[기타] 포트 포워딩 - 외부에서 내부 서버로 접속해보자 (1)

일을 하다보면 그런 경우가 있다. 우리 서버는 내부에 있는데, 출장을 갔을 때 내부서버에 접근해야 한다거나.. 예를 들어 노트북을 가지고 다니며, 내부 서버에 접근하려는데 노트북은 Wifi를 이

bongra.tistory.com

> SVN 설치: https://heisely93.tistory.com/6

 

[ETC] SVN 설치

형상관리를 위해 SVN을 사용하기로 했다. * 버전 관리 및 여러 사람이 자료공유를 하기에 용이함 1. https://tortoisesvn.net/downloads.html 접속 Downloads · TortoiseSVN download TortoiseSVN tortoisesvn.ne..

heisely93.tistory.com

> SVN 저장소 설정: https://heisely93.tistory.com/7

 

[ETC] SVN 저장소 설정

1. 저장소(repository)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한 뒤 우클릭하여 "TortoiseSVN > Create repository here"를 클릭 2. 생성이 되면 Create folder structure를 눌러주고 Start Repobrowser를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heisely93.tistory.com

 


 

 

End.

heisely's 괴발개발 개발일지

 

728x90
반응형

'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SVN 체크아웃(2) - Source  (0) 2022.02.23
[SVN] SVN 체크아웃(1)-파일서버  (0) 2022.02.23
[SVN] VisualSVN Server Manager 관련  (0) 2022.02.23
[SVN] SVN 저장소 설정  (0) 2022.02.13
[SVN] SVN 설치  (0) 2022.02.13
728x90
반응형

SVN

- SVN 저장소 설정 -

 


 

1. 저장소(repository)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한 뒤 우클릭하여 "TortoiseSVN > Create repository here"를 클릭

 

 

2. 생성이 되면 Create folder structure를 눌러주고 Start Repobrowser를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참고:

> SNV 설치: https://heisely93.tistory.com/6

 

[ETC] SVN 설치

형상관리를 위해 SVN을 사용하기로 했다. * 버전 관리 및 여러 사람이 자료공유를 하기에 용이함 1. https://tortoisesvn.net/downloads.html 접속 Downloads · TortoiseSVN download TortoiseSVN tortoisesvn.ne..

heisely93.tistory.com

> SVN 포트포워딩: https://heisely93.tistory.com/8

 

[ETC] SVN 포트포워딩

1. 포트포워드  - 윈도우 + R 을 눌러 "cmd" 검색  - ipconfig를 입력하여 기본 게이트웨이 확인  - 기본 게이트웨이 접속 (나는 next network라서 192.168.1.254 / iptime은 보통 192.168.0.1)하여 고급탭..

heisely93.tistory.com

> VisualSVN Server Manager: https://heisely93.tistory.com/10

 

[ETC] VisualSVN Server Manager 관련

Tortorise SVN을 설치했으나, 계정을 설정해서 허가된 계정만 접근할 수 있게 해야해서 VisualSVN Server Manager를 설치했다. 1. 설치 https://www.visualsvn.com/server/download/ VisualSVN Server | Download..

heisely93.tistory.com

 


 

 

End.

heisely's 괴발개발 개발일지

728x90
반응형

'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SVN 체크아웃(2) - Source  (0) 2022.02.23
[SVN] SVN 체크아웃(1)-파일서버  (0) 2022.02.23
[SVN] VisualSVN Server Manager 관련  (0) 2022.02.23
[SVN] SVN 포트포워딩(NEXT NETWORK 포트포워딩)  (0) 2022.02.13
[SVN] SVN 설치  (0) 2022.02.13
728x90
반응형

SVN

- tortoiseSVN 설치 for 형상관리 - 

 

형상관리
 -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통제하는 것
 - 형상 항목(Configuration Item)이라는 형태로 작업 산출물을 선정하고, 형상 항목 간의 변경 사항 추적과 통제 정책을 수립 및 관리함

 

형상관리를 위해 SVN을 사용하기로 했다.

* 버전 관리 및 여러 사람이 자료공유를 하기에 용이함

 

1. https://tortoisesvn.net/downloads.html 접속
 

Downloads · TortoiseSVN

download TortoiseSVN

tortoisesvn.net

 

2. 본인 컴퓨터 사양에 맞는 버전 클릭

나는 1.14.1 - 64-bit

 

3. 안내에 따라 설치하면 끝

 


참고: 

> SVN 저장소 설정: https://heisely93.tistory.com/7

 

[ETC] SVN 저장소 설정

1. 저장소(repository)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한 뒤 우클릭하여 "TortoiseSVN > Create repository here"를 클릭 2. 생성이 되면 Create folder structure를 눌러주고 Start Repobrowser를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heisely93.tistory.com

> SVN 포트포워딩: https://heisely93.tistory.com/8

 

[ETC] SVN 저장소 설정

1. 저장소(repository)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한 뒤 우클릭하여 "TortoiseSVN > Create repository here"를 클릭 2. 생성이 되면 Create folder structure를 눌러주고 Start Repobrowser를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heisely93.tistory.com

> SNV 체크아웃: https://heisely93.tistory.com/11

 

[PMS] SVN 체크아웃(1)-파일서버

SVN 설치하고, 저장소 생성하고, 포트포워딩까지 끝냈으니 이제 팀원들과 공유를 해야했다. SVN 포트포워딩 설정하는 게시물에 적었듯이 나는 공유기를 NEXT Network를 사용해서 며칠 애 먹다가 오늘

heisely93.tistory.com

> VisualSVN Server Manager: https://heisely93.tistory.com/10

 

[ETC] VisualSVN Server Manager 관련

Tortorise SVN을 설치했으나, 계정을 설정해서 허가된 계정만 접근할 수 있게 해야해서 VisualSVN Server Manager를 설치했다. 1. 설치 https://www.visualsvn.com/server/download/ VisualSVN Server | Download..

heisely93.tistory.com

 


 

 

End.

heisely's 괴발개발 개발일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